본문 바로가기
필진-피어슨

2022년 부동산 양도세 비과세 조건(조정지역 비조정지역 양도세)-1가구 1주택 비과세,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다주택자 최종 1주택 비과세 양도소득세(양도세) 계산기

by 피어슨 2022 2022. 6. 3.

2022년 부동산 양도세 비과세 조건(조정지역 비조정지역 양도세)-1가구 1주택 비과세,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다주택자 최종 1주택 비과세

부동산 양도세 비과세 조건들이 복잡 다양해 졌는데요.. 현재 고가주택 기준, 거주의무 기간등의 변경이 있다는 점 꼭 유념하셔야 합니다.

.1가구 1주택 비과세 조건: 2년 보유, 조정지역 2년 거주, 실거래가액 12억 이하 주택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조건

여기서 부터 복잡해 집니다--;; 조정 대상 지역 여부, 기존 신규 주택의 취득 시점과 거주 기간, 기존 주택의 매도 기간 등에 따라 비과세 조건이 충족될 수도 안될 수도 있습니다.

 

최신 부동산 조정대상지역은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조정대상지역 주택담보 대출, 투기과열지구 지역 대출 전매제한 양도세(양도소득세) 취

2021년 12월 30일 국토부는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을 심의, 의결하였습니다. 결론은 추가적인 지정...

blog.naver.com

 

조정 지역에서 조정 지역의 주택을 취득할 경우를 제외한 조정 지역<->비조정 지역, 비조정<->비조정으로 가는 경우는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기 수월합니다.

 

신규 주택을 취득한 시점을 기준으로 기존 주택을 3년 내에 매도하기만 하면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세 비과세(12억 이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조정 지역<->조정 지역 이전일 경우 기존 주택의 취득 기간과 매도 시점, 신규 주택의 전입(거주) 시점에 따라 비과세 조건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1)​기존 주택을 2018년 9월 13일 이전에 취득했다면 3년 이내에 처분해야 합니다. (2)2018년 9월 14일 ~ 2019년 12월 16일 사이에 주택을 샀다면 2년 이내에 매도해야 합니다. (3)2019년 12월 17일 이후에 기존 주택을 취득했다면 기존 주택은 1년 내 매도해야 하고, 신규 주택은 1년 이내에 전입(거주)해야합니다.

 

위 3가지 처분 기간을 구분한 후 처분하는 주택의 실거래 가액이 12억 원 이하이고, 보유 기간은 2년 이상이어야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세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케이스 별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세 비과세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1년 부동산 양도세(양도소득세) 계산기

간단하게 부동산 양도세 계산 예시를 들겠습니다. 조정지역 다주택자로서 주택을 매도할 경우 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도(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35% -1,490만원(누진공제) = 양도세액 - 장특공제(조정지역 공제없음) = 최종 납부세액

​양도세는 너무나 많은 케이스들이 있습니다. 차라리 다소 복잡해 보이는 부담부증여세를 계산하는 것이 더 쉬울 정도로 부동산 양도세는 어렵습니다.

특히 2018년 ~ 2021년 까지 양도세 관련 예외, 부칙 들이 너무 많아져서 부동산 양도세 만큼은 세무사에게 맡기는 것이 옳은 판단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본인이 세금 공부를 하셔야 세무사의 전문 지식을 더욱더 잘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 하시길 바랍니다!

양도세 계산기는 추산이더라도 홈택스 계산기를 추천합니다.

​홈택스 접속>세금종류별 서비스>양도소득세>모의계산으로 들어가시면 되겠습니다.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wq?w2xPath=/ui/pp/index_pp.xml&tmIdx=&tm2lIdx=&tm3lIdx=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