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대기업들 역시 메타버스에 본격적으로 참전하면서, IP의 확보가 중요하다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다양한 투자상품을 구성하려는 상황입니다. 특히 덩치가 크고 가격이 높은 물건, 투자대상을 디지털 영역으로 끌어들여 분할하고 이를 조각투자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진다면 자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해집니다. 한국에서도 조각투자 기반인 자산 유동화(ABS, MBS) 시장이 이런 식으로 성큼 다가올 수도 있을 것입니다.
메타버스 IP(지적재산권) 투자 방향성, 조각투자, 스마트 계약 메커니즘
-조각투자가 쉬워진다
2021년 3월 크리스티가 미국 뉴욕 경매에 처음으로 NFT 작품을 내놨을 때만 해도 미술계는 바보 같은 사기라는 반응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이후 NFT 디지털 아트 시장은 성장에 성장을 거듭해 조각투자를 통해 아트 시장 저변을 급격하게 넓혀가고 있습니다.
조각투자는 NFT 기술로 그림을 지분 형태(증권)로 쪼갠 뒤 여러 투자자가 공동으로 소유권을 구입하는 새로운 미술품 투자방식입니다. 사실 미술품은 부유층의 전유물로 인식되어 시장 자체의 한계가 너무나 명확했는데요.. 새로운 투자 방식인 조각투자가 미술품 투자의 저변을 확대시킬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조각투자 플랫폼인 아트앤가이드는 작품을 구매해 되판 수익률이 평균 40.9%(평균 보유기간 313일)에 달했다고 합니다.
그 동안 조각투자은 투자자가 투자한 작품을 집에 전시해서 감상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리지널 IP가 디지털인 작품도 NFT를 탑재하고 고가로 팔리고 있습니다. 집에 걸어둔 작품이 카피품인지 아닌지 상관없이 감상이 가능합니다. 조각투자라도 했다면 더욱 애착이 가겠지만요.
-작가 재능에도 투자
작가의 재능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한컴아트피아와 더아트나인의 화가의 잠재 가치에 투자하는 ‘화가 재능 NFT화’ 사업 추진을 들 수 있습니다. 더아트나인이 화가를 선정하고, 한컴아트피아가 화가들이 제작하는 미술작품 판매금 일부를 NFT 구매자들에게 배분하는 방식으로 이런 내용을 기재한 계약서를 NFT로 발행할 계획이고, 이를 위해 NFT 마켓을 열고 실제 거래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디지털 아트 메타버스 거래소, 갤러리 등장
그라운드X의 클립드롭스, 서울옥션블루의 XXBLUE, 갤럭시아머트리의 메타갤럭시아 등 NFT 디지털 아트 전문 거래소 역시 잇달아 생겨나고 있습니다.
작가들의 작품을 지속적으로 전시될 메타버스 기반 갤러리 서비스도 곳곳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미 여러 디지털 아트 거래 플랫폼들이 각축을 벌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아트에서의 메타버스, NFT 활용과 확대는 타 영역의 시범케이스가 된다
지금까지 디지털 아트가 대두되는 부분과 확대되는 사례들을 다소 디테일하게 살펴봤는데요. 물론 이유가 있습니다. 메타버스와 NFT를 활용한 디지털 아트영역의 솔루션들은 기존 레거시 아트 시장이 갖고있는 문제점과 비슷한 취약점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다른 서비스 영역에도 같이 적용되고 확장될 수 있습니다.
오리지널 IP가 있는 모든 분야, 예를 들어 출판, 교육 강연, 게임, 엔터, 영상(방송, 스포츠중계, 드라마, 영화..), 부동산 거래와 소유, 주식 거래와 소유 등등 온라인 처리가 끼여있거나, 온라인으로 대체 가능한 부분이 있는 대부분의 산업 영역에서 NFT는 기존 방식을 대체할 수단으로 자리잡을 것입니다.
아래는 스마트 계약(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상세한 메커니즘에 대한 공유입니다.
2021년 7월 KISA 리포트 NFT와 스마트 컨트랙트 : 디지털 자산 거래와 메타버스 생태계 발췌
스마트 계약(스마트 콘트랙트)
<NFT 발행(mint)과 컨텐츠 거래 재거래에 대한 창작자에 대한 보상 절차>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활용하여 NFT로 발행하고 거래 지원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고유한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마다 고유한 NFT가 발행되는 것이다. NFT의 최초 거래 이후의 재거래에 대해서도 기존의 미술품 거래에 적용되는 바와 같이 원작자에게는 10%의 로열티가 지급되어 디지털 콘텐츠 창작자에게는 새로운 수익 창출과 비즈니스의 기회가 열린 것이다. 이때 NFT의 가격을 제시하거나 경매하는 방법 등 다양한 거래 방식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현재 NFT 발행과 거래를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Rarible, Terra Virtua, Enjin, Mintbase, Opensea, MarkersPlace, Known Origin, Async Art, Nifty Gateway, Superrare, Cryptograph, Crypto Kitties, Handshake Domains 등이 있다. 대부분의 NFT 서비스 플랫폼은 DAO로 구축되어 NFT의 발행과 거래, 거래에 대한 보상의 절차를 스마트 콘트랙트로 진행하게 된다.
현재 이더리움 기반의 NFT가 대세이지만,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의 가스비(Gas limit)가 상대적으로 고가이므로 발행 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이더리움에서 스핀오프하여 발행되는 여러 가지 코인들을 NFT 발행에 사용되고 있다. 트론(Tron)의 TRX-721 등이 비 이더리움 계열 NFT에 속한다. 이러한 알트 코인의 일부는 아직 기술적으로 불완전하거나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있으므로 관련된 코인에 투자 시에는 매우 신중한 기술적인 검토와 판단이 요구된다.
이런 스마트 거래 메커니즘을 공유한 이유는 디지털 아트 등 IP 창작자들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로열티를 지급받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이 열렸다는 겁니다. 마치 음악 저작권 처럼 사람들이 작품을 한번 내려받을 때 마다 전시를 한번 할때마다 자동으로 저작권료를 지급받을 수 있는 기술이 탄생한 것입니다.
이해 관계자들간 분배율 조율이 필요하겠지만 귀찮고 손이 많이가는 분배 영역이 기술 기반으로 손쉽게 해결된다면 스마트 계약의 활성화로 다양하고 많은 창작활동이 일어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크리에이티브 르네상스 형 인간이 득세할 주요한 갈림길에 있는 시점입니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월세지원 사업-개요, 주요 질문답변, 모의계산 서비스 화면 (5) | 2022.04.22 |
---|---|
윤석열 부동산 정책 (0) | 2022.04.21 |
리브라(디엠) 로드맵, 주커버그의 비전과 메타버스, 메타 페이스북 주가 추이 (1) | 2022.04.13 |
채권 가격과 금리 이해-장단기 미국채 금리, 2025년 미래 투자 시나리오 발췌 (7) | 2022.04.07 |
2022년 LH 청년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대상 자격, 모집 일정, 공급 물량 (2) | 2022.04.01 |
댓글